제주도의 장점 중의 하나가 도서관이 가깝다. 인구비율당 도서관 수로 따진다면 단연코 전국 1위가 아닐까 싶다. 반면에 서울,경기 도서관은 형편없다. 도서관들은 구석에 있는데 주차할 공간도 없고 있다고 하더라도 돈 받는다. 이건 뭐 도서관을 왜 만든건지 모르겠다. 반면에 제주도 도서관들은 주차공간이 정말 잘되어 있다. 물론 제주도는 지하철이 없고 버스도 형편없어서 대부분 자가용 몰고 다닌다. 이렇게 좋은데 희망도서도 신청할 수 있다. 도서관별로 한달에 5권 총 20권 까지 신청할 수 있다. 즉, 우당도서관 5권, 탐라도서관 5권, 한라도서관 5권, 애월 도서관 5권 이렇게 한달에 20권 까지 희망도서를 신청할 수 있고 신청도서가 도착하면 친절하게 문자까지 온다. [한라도서관]홍길동님희망도서가소장되었습니다...
서울의 사립 도서관들은 아예 입구에서부터 학생증 찍고 들어갈 수 있게 해놨다. 일반인들은 아예 입구조차 들어갈 수 없다. 서울의 국립대학교 도서관 예를들어 서울대학교는 입구에서 찍고들어갈 수 있는 장치는 동일하게 있다. 아무나 들어갈 수 없다. 그러나 국민의 세금으로 지어진 국립대다 보니 주민등록증을 관리인에게 주면 임시 출입증을 준다. 그걸로 찍고 들어갈 수 있다. 공공도서관들은 공휴일에 다 쉰다. 이럴때 갈수있는데가 국립대 도서관이다. 24시간 365일 연다. 다들 누구나 한번쯤은 도서관에 힘들게 공부하러 갔는데 정기휴무일이 여서 다시 돌아온 경험이 한번쯤 있으리라.. 도서관은 설립목적에 맞게 공부하고 싶은 사람이 언제든지 공부할 수 있게 오픈되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면에서 제주대학교 중앙도..
제주에 와서 가장 좋았던게 도서관 시설이 훌륭하다. 서울 도서관들이 어디 보이지 않는곳에 숨어 있고 주차할곳도 마땅치 않다. 하지만 제주 도서관들은 대부분 자연친화적으로 잘 지어 놨다. 자연과 함께하려는 제주인의 사상이 그대로 녹아 있는듯 했다. 제주 도서관들을 많이 다녀봤지만 그중 최고봉은 한라도서관이 아닐까 싶다. 제주시내와 멀지도 않고 넓은 잔디광장도 있어서 뛰어놀거나 소풍온것 처럼 쉴수도 있다. 스피커에서는 음악소리도 나오고.. 잔디냄새, 풀냄새도 맡을 수 있다. 도시락도 싸와서 먹어도 되고.. 정말 도서관에서 오감만족할 줄은 생각도 못했다. 휴식이 지겨워지면 도서관에 들어가 책을 보거나 빌려와도 된다. 다른 도서관들은 주말에 6시면 자료실은 문을 닫는다. 한라도서관은 좋은것이 8시 까지 자료실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제주시청
- 아라동
- 제주여행
- 애월
- 연동
- 산책로
- 제주물놀이
- 한라도서관
- 라마다제주시티호텔
- 카페
- 서귀포
- 인제사거리
- 제주호텔
- 아파트
- 제주맛집
- 탑동
- 라마다제주시티
- 수선화아파트
- 커피
- 맛집
- 중문
- 여행
- 신제주
- 물놀이
- 돈내코
- 재건축
- 한라산
- 호텔
- 일도이동
- 제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