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는 대단지 아파트가 많이 없다. 제주도는 예전 부터 시골마을이라 감귤농사 등을 짓고 살아왔고 제주도민 정서상 마당있는 집을 좋아했다. 그러나. 외지인, 육지에서 사람들이 몰려오면서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값이 많이 올랐다. 베라체를 시작으로 아파트 값이 상승하면서 이미 평당가격이 서울,경기와 맞먹는다. 이렇게보니 비교가 안되서 잘 이해가 안가는 분들도 있을텐데 노형동에 있는 아이파크 아파트가 9억이 넘게 거래되고 있다. 불과 몇년전만 해도 반값도 안됐었다. 매달육지에서 한달에 천명 혹은 9백명 정도 제주로 내려온다. 이런 흐름이 언제까지 갈지는 모르겠지만 계속 인구유입이 되면서 이 사람들이 어디에선가는 살아야 하니 수요가 많아져서 집값이 오르는것 같다. 또한 공사비, 인건비등도 덩달아 상승..
오네뜨라고도 불리고 오네트라고도 불리는 중문 honnete 아파트단지이다. 서귀포 중문 갈때마다 네비가 가라는데로만 가서 아파트가 있는지 잘 몰랐는데 잘 보면 아파트가 보인다. 그래서 이번에는 직접 오네트 아파트로 가보기로 했다. 중문 푸른마을 주공아파트에서 안나오는 매물이 나오고 있는데 그 이유가 오네트 입주기간이라 주공아파트를 팔고 오네트 들어가려고 하는 사람들 때문에 조금 나온다고 한다. 새아파트라 좋긴한데 동간 사이가 너무 좁았다. 차라리 단지 환경은 푸른마을 주공아파트가 더 좋았다. 실내로 들어가보니 역시 새집이라 다 새삥이였다. 그런데 뭔가 2%로 부족한 느낌. 태홍파우누스 모델하우스 가봤을때는 실내장식이 너무 좋았다.(태홍 파우누스 관계자 아님.ㅡㅡ) 뭔가 정확히는 모르겠는데 왠지 고급스러운..
뭐니뭐니 해도 대한민국에서 최고의 관광지겸 피서지는 중문이 아닐까 싶다. 중문해수욕장에 파도가 많이 칠때 가면 정말 모든 스트레스가 쫙~ 풀린다. 중문이 세계적인 관광지다 보니까 호텔,리조트만 많다고 생각했는데 한번 아파트도 살펴보기로 했다. 오일장에서 보니 중문 푸른마을 주공아파트라고 있었다. 부동산과 통화해봤다. "여기 원래 매물이 잘 안나오는데 중문 오네뜨 입주하고 있어 매물이 조금 나오고 있습니다." 부동산에 도착하니 젊은사장님? 께서 친절하게 차에타라고 하고 푸른마을 주공아파트 단지로 향했다. 중문에 놀러갈겸 한번 집도 봐보기로 했다. 중문해수욕장 갈때 항상다니던 길이였는데 여기에 아파트단지가 있을줄 몰랐다^^ 단지내는 조용하고 초등학교도 붙어 있었다. 주변에 직장만 있다면 초등학교있는 자녀에겐..
도남동 투어?를 하고 있다가 낮익은 로고 (CI)와 함께 동아라고 쓰여있는 아파트를 봤다. 그러고 보니 '동아'라는 브랜드는 내가 어렸을적에 많이 봐왔는데 어느 순간 못본것 같다. 그런데 여기서 오래간만?에 봤다. 도남동쪽 아파트들은 역사가 깊은 오래된 동네라서 그런지 요새 신도시 처럼 반듯하게 만들어지진 않았다. 그래도 구제주 시내 중심에 있어 어디든 가기 좋을것 같다. 동아아파트는 오래되 보였는데 층수가 높고 엘리베이터까지 있었다. 바로 길건너에 이도초등학교가 있어서 초등학교 가기도 좋게 느껴졌다. 엘리베이터와 CCTV 복도식 이네요 이도초에서 바로 동아아파트가 보인다.
제주 도남동에는 수선화 아파트가 많다. 만약 도남 수선화 아파트를 구매나 살려고 하는 사람들은 헷갈리지 말고 직접 가봐야 알 수 있다. 국토부 실거래가 사이트를 가봐도 도남동 수선화를 검색하면 많이 나온다. 수선화, 수선화(70) 머 이런식으로.. 어렵다.. 내가 가본데는 이도초 앞에 있는 아파트 단지다. 일도지구의 대단지 아파트 처럼 길이나 구역이 반듯하게 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래도 시내와는 더 가까운것 같다^^ 앞으로 이도주공아파트가 재건축 되면 이 옆의 아파트들 즉, 동아, 수선화 아파트들이 주목 받으리라 생각한다. 반면 반대편 연삼로 건너서 도남우체국 방면의 수선화 아파트도 가봤는데 길 가에 있어서 시끄럽고 길도 좁고 땅 모양도 이상하고.. 좀 그랬다.. 가격은 다서 저렴했다. 도남 수선화 1차라..
제주 도남에 있는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에 볼일이 있어서 갔다가 오는길에 아파트단지가 보여서 들어가 봤다. 그 유명한 이도주공아파트 옆에 있는 아파트 단지다. 이도주공아파트는 재건축을 앞두고 있어 가격이 무척뛰고 있다. 도남에 제주 재건축 1호인 한진중공업 해모로가 현재 공사중이다. 이미 프리미어(P)가 7천에 거래되고 있다고 들었다. 불과 1달 정도 지났는데.. 제주는 규제를 피해서 전매 무제한이다. 이렇듯 제주에는 A급 브랜드(삼성 래미안, 현대 아이파크, 자이 등)이 거의 없다. 신제주에 아이파크가 유일하다. 그런 희소성 때문인지 현재 제주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가 아이파크이다. 현재도 급상승 중이다. 해모로는 A급 브랜드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이렇게 뛰고 있으니 입지가 도남 해모로보다 더 좋다고 평가받는..
넥슨컴퓨터 박물관을 갔다가 1100도로와 이어진 길에 있는 부영아파트와 중흥S클래스를 가보기로 했다. 부영아파트는 과거 제주에 왔을때 1100도로를 타고 가는길에 원앙무늬의 부영아파트를 본적이 있다. 부영의 원앙모양이 시대에 뒤떨어진다는 말도 있는데 바꾸지 않고 아직 잘 쓰고 있다. 서울 남대문 신한은행 뒤편 건물에도 부영 원앙마크가 있다. 삼성빌딩도 부영이 샀다고 한다. 서귀포에는 부영랜드를 짓는다고 한다. 거침없는 부영의 행보다. 오늘 신문기사에도 '부영아파트 600억원대 소송 원고 패소' 라는 기사를 봤다. 제주지역 부영아파트 입주자 2000여 명이 부영주택 등을 상대로 제기한 600억원대 소송에서 패소했다고 한다. 거침없는 부영의 행보다. 아파트가 계단식인줄 알았는데 복도식이였다. 주변에 한라초,..
제주대 갔다가 오는 길에 아라동을 좀 둘러보기로 했다. 아라동에 아이파크가 있다고 하던데 아라동을 관통하는 5.16도로를 타고가다보면 보이질 않았다. 그래서 일부로 동쪽 안쪽으로 들어가보니 아이파크가 나왔다. 역시 소문대로 깨끗했다. 아라동이 오르막길에 있다고 싫어하는 사람도 있지만 난 개인적으로 산쪽에 있어서 공기도 깨끗하고 좋다. 신제주나 구제주 중심처럼 편의시설은 없지만 그래도 아주 산속처럼 아예 편의 시설이 없는것도 아니고 중심지처럼 너무 정신없지도 않고 딱 중간인듯 하다. 그리고 앞으로 이쪽 5.16도로를 따라 개발계획이 다 잡혀있다고 한다. 대단지고 주변 정비도 잘되어 있어 사는데는 불편함이 없어보인다.
제주대학교를 가서 버스 노선표를 보니 제주시청 방면, 제원방면이라고 써있었다. 제주시청 방면이라 제주시청인줄 알았는데 제원방면은 어디를 말하는지 몰랐다. 우연히 제주대 나온 사람과 얘기하던중에 이런질문을 했다. "제주대학생들은 어디서 놀아?" "제주시청이나 제원이요" "제원이 뭐지" "신제주요" "근데 신제주라 안하고 왜 제원이라고 해?" "제원 아파트가 있어서요" 제원 아파트때문에 제원이라 불린다. 도대체 제원아파트가 뭔지 찾아나섰다. 사실 제원아파트를 찾아나선것은 아니고 신제주 바오젠거리 등을 이리저리 둘러보다가 제원아파트를 발견하였다. 위치가 정말 놀기 좋은 곳이였다. 각종 편의시설,술집,밥집들이 즐비하였다. 이도주공아파트 처럼 노후화가 심했다. 재건축을 해야할듯 싶었다. 여기도 재건축이 되면 어마..
서귀포 갈때나 관광지갈때 5.16 도로를 타고 아라동을 지나가기만 했는데 이번에는 아라동을 한번 돌아보기로 했다. 아라동 중심으로 보이는 곳으로 들어가서 주차를 하고 둘러보는데 가장 먼저 눈에 띄는것이 아라 KCC 스위첸 이였다. 예전에 지어진 아파트들은 층수도 5층 정도로 낮고 엘리베이터도 없다. 그래도 동사이 간격이 넓어서 쾌적한 면이 있다. KCC 스위첸은 요새 지어진 아파트라서 그런지 고층에다가 동사이 간격이 촘촘하다. 그래도 요새 지어진 아파트라서 깨끗하고 쾌적하리라.. 요새 제주 부동산,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무섭다. 뉴스에서 보니까 신제주 아이파크 아파트가 2013년도에 3억에 분양했는데 불과 3년 만에 8억 5천에 팔린단다. 이렇게 가격이 가파르게 오른것은 처음 보는것 같다. 제주도및 국토..
- Total
- Today
- Yesterday
- 제주호텔
- 탑동
- 아라동
- 제주물놀이
- 제주여행
- 인제사거리
- 재건축
- 서귀포
- 호텔
- 맛집
- 라마다제주시티
- 수선화아파트
- 한라산
- 라마다제주시티호텔
- 연동
- 돈내코
- 제주
- 애월
- 물놀이
- 한라도서관
- 신제주
- 제주맛집
- 커피
- 산책로
- 여행
- 제주시청
- 카페
- 중문
- 아파트
- 일도이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